소연이의 메모장

[자격증]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책 추천 및 공부방법 본문

Careers/교육\자격증

[자격증]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책 추천 및 공부방법

xoyeon 2023. 8. 31. 17:56
반응형

데이터 분석에 관심 좀 있다고 하면 흔히들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사실 공부 내용이 실전에 쓰일 만큼 유익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뭐 알아둬서 나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이력서에 '나 데이터 분석에 관심 있어서 자격증도 땄어요~' 정도로 나타내기엔 좋을 것 같다.


1. ADsP 란?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란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데이터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조하길 바란다.

 

데이터자격시험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시험은 실기시험은 없으며 필기시험은 PBT(Paper Based Test) 방식으로 자격을 검정하며, 필기시험 합격기준 요건을 충족하면 최종합격자로 분류되어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www.dataq.or.kr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고

필기만 한번 합격하면 자격증이 나오기 때문에 부담 없이 보기 좋다.

 

문항수는 총 50문항으로

객관식 40문항, 단답형 10문항이 출제된다. 

 

여느 자격증 시험처럼

합격 기준은 총점 60점 이상이고

과락을 면하기 위해서는 40%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

 

2. 도서 추천

 

흔히들 '민트책'이라고 부르는 책으로 공부하였다.

다른 ADsP 도서가 많지만 많은 수험생들이 이걸로 공부를 한다.

 

자격증 도서는 새 책을 사기가 아까워서 중고 책을 구매하였다.

저렴하게 2020년도 버전을 구매했지만

2023년도 시험에서도 합격하였다.

 

책을 구매하는 이유는 기출문제를 풀어보기 위해서인데

사실 책이 없어도 네이버 카페인 '데이터 전분가 포럼'이라든지

수많은 유튜브 강의만 봐도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

 

ADsP가 문제은행이라는 말이 있지만

컴활만큼의 문제은행을 기대하면 안 된다.

그래도 문제 유형이 비슷한 편이라 기출이 상당히 도움 된다.

 

ADsP는 시험 끝나면 카페가 시끌시끌하다..

한편으로는 문제지 좀 회수하지 말고 공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3. 공부 방법

ADsP는 총 세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3과목인 '데이터 분석'의 배점이 높기 때문에

(3) 데이터 분석 -> (2) 데이터 분석 기획 -> (1) 데이터 이해

순서로 공부하면 좋을 것 같다.

 

데이터 이해는 은근히 쉽고 당연한 소리를 하는 것 같아도 점수가 잘 안 올랐다.

완전 암기 부분인데.. 내가 암기에 취약해서 그런 걸 수도?

 

공부 비법은 사실

책에 있는 기출 다 풀어보고

사람들이 카페에서 질문하는 것에 답변도 달아보고

스스로 공부하는 게 정석이다. 비법은 없다.

턱걸이 합격. 초럭키✌🏻